본문 바로가기
[항일무장투쟁 발자취를 따라서] 이념에 물린 반쪽 광복운동史 [항일무장투쟁 발자취를 따라서] 이념에 물린 반쪽 광복운동史 지난 12일 중국 허베이성 한단(邯鄲)의 진기로예 열사릉원. 이곳엔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은 좌파계열 독립운동가 진광화·윤세주 열사의 묘가 모셔져 있었다. 두 열사는 조선의용대에서 활동하다 1942년 6월 중국 태항산에서 공산당과 함께 일본군에 대항한 '마전(痲田)반격전'에서 전사한 투사들이다. 11박12일의 중국 화북지역 항일투쟁지 답사일정 중 이 능원을 찾은 단원들 사이에는 갈등이 있었다. "중국 공산당을 위해 싸운 이들을 왜 기려야 합니까." 한 민족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 후손은 답사 주최측의 두 열사 추모행사에 불만을 나타냈다. 또 다른 단원은 "옛날 같았으면 국가보안법으로 처벌받았을 일"이라고도 했다. 이념대립의 찌꺼기는 이렇듯 이국의.. 2012. 6. 29.
[항일무장투쟁 발자취를 따라서] 海平 이재현 열사는 누구 [항일무장투쟁 발자취를 따라서] 海平 이재현 열사는 누구 해평 이재현 열사는 1919년 상해임시정부 수립과 동시에 독립운동을 위해 김구 선생과 함께 상하이로 간 부친을 따라 중국으로 건너갔다. 당시 3살이던 그에게 독립운동은 운명과도 같았다. 그의 호 해평(海平)은 김구 선생이 지어줬다. 김구 선생은 젊은 군인 이재현 열사를 총애했다. 해평 선생은 1939년 11월, 23살의 나이로 30여명의 무정부주의 계열 청년들과 함께 충칭에서 한국청년전지공작대(이하 전지공작대)를 창설했다. 전지공작대는 결성과정에서 김구 선생의 승인을 받았지만 임시정부와는 별도의 독자적 조직체였다. 그는 일본군 37사단과 맞서 정보를 빼내고 한국 국적의 일본군 사병을 포섭하는 활동을 벌였다. 이 작업을 위해서는 중국인으로 위장하는 .. 2012. 6. 29.
[항일무장투쟁 발자취를 따라서] “이념 초월한 역사교육 절실” [항일무장투쟁 발자취를 따라서] "이념 초월한 역사교육 절실" "최인훈의 소설 '광장'을 읽어보셨죠? 남과 북 어느쪽으로도 갈 수 없어 제3국을 선택했다가 바다에 몸을 던지는 주인공. 지금 남과 북 모두에서 기억되지 못하고 잊혀져 가는 광복운동가들은 소설 '광장'에 나오는 바로 그 주인공들이에요." 지난 13일 충칭 광복군 제1지대 본부 터. 장규식 교수(중앙대 사학과)는 "공산주의든 무정부주의든 이념보다 광복과 해방을 간절히 원했던 중간파 광복운동가들은 진정 광복이 찾아온 뒤에는 남과 북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했던 불운한 사람들"이라며 말을 꺼냈다. '위치엔 고속도로'가 개통돼 이제는 그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는 광복군터를 둘러본 뒤였다. 장교수는 "광복 후 남과 북이 갈라지며 이념대립이 심화되던 시점.. 2012. 6. 29.
[항일무장투쟁 발자취 따라서] 방치된 항일 유적들 경향신문 2006년 특집기사 [항일무장투쟁 발자취 따라서] 방치된 중국내 유적들l 입력 : 2006-08-13 18:39:45 역사는 과거와 오늘의 대화다. 기억하지 않고, 묻지 않는다면 역사는 아무것도 말해주지 않는다. 중국에서 펼쳐진 항일무장투쟁 역사도 우리가 관심과 애정을 기울이지 않으면 우리 역사가 될 수 없다. 경향신문은 광복 61주년을 맞아 방치된 중국 내 항일투쟁 유적지 답사를 통해 묻혀가는 독립투사들의 조국혼을 되새기고자 한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사업회'와 '운암 김성숙 기념사업회'가 각각 주최한 이번 답사에는 경향신문 취재팀 외에 독립투사 후손과 역사학자, 대학생들이 참여했다. 중국 젊은이들이 몸을 흔드는 디스코장으로 변한 훈련장, 폐허만 남은 숙소…. 빛나던 중국 내 항일 무장 투.. 2012. 6. 29.
김구 김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김구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김구 김구 (194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9·10대 국무령 임기 1926년 12월 14일 ~ 1927년 8월 부통령 없음 전임: 홍진(제8대) 후임: 이동녕(제11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16·17·18대 주석 임기 1940년 3월 ~ 1947년 3월 3일 국가 부주석 김규식 전임: 이동녕(제15대) 후임: 이승만(제19대) 출생일 1876년 8월 29일(1876-08-29) 출생지 조선 황해도 해주 백운방 텃골 사망일 1949년 6월 26일 (72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경교장 2층 거실 정당 한국독립당(1928) 한국국민당(1935) (통합)한국.. 2012. 6. 19.
고종황제 대한제국 고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대한제국 조선 고종 (大韓帝國 朝鮮 高宗) 조선의 제26대 국왕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대한제국의 초대 황실 수장 본명 이형(李) 재위 1863년 ~ 1907년 출생일 1852년 9월 8일 사망일 1919년 1월 21일 (66세) 황후 명성황후 부친 흥선대원군 모친 여흥부대부인 이전 왕 철종 다음 황제 순종 고종(高宗, 1852년(철종 3년) 음력 7월 25일(양력 9월 8일) ~ 1919년 양력 1월 21일)은 조선의 제26대 임금(재위 1863년 ~ 1897년)이자 대한제국의 광무제(光武帝, 재위 1897년 ~ 1907년)이다. 휘는 희(熙) 또는 형(), 초명은 재황(載晃), 아명은 명복(命福), 초자(初字)는 명부(明夫), 자는.. 2012.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