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역사

김구 김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김구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김구 김구 (194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9·10대 국무령 임기 1926년 12월 14일 ~ 1927년 8월 부통령 없음 전임: 홍진(제8대) 후임: 이동녕(제11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16·17·18대 주석 임기 1940년 3월 ~ 1947년 3월 3일 국가 부주석 김규식 전임: 이동녕(제15대) 후임: 이승만(제19대) 출생일 1876년 8월 29일(1876-08-29) 출생지 조선 황해도 해주 백운방 텃골 사망일 1949년 6월 26일 (72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경교장 2층 거실 정당 한국독립당(1928) 한국국민당(1935) (통합)한국.. 더보기
고종황제 대한제국 고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대한제국 조선 고종 (大韓帝國 朝鮮 高宗) 조선의 제26대 국왕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대한제국의 초대 황실 수장 본명 이형(李) 재위 1863년 ~ 1907년 출생일 1852년 9월 8일 사망일 1919년 1월 21일 (66세) 황후 명성황후 부친 흥선대원군 모친 여흥부대부인 이전 왕 철종 다음 황제 순종 고종(高宗, 1852년(철종 3년) 음력 7월 25일(양력 9월 8일) ~ 1919년 양력 1월 21일)은 조선의 제26대 임금(재위 1863년 ~ 1897년)이자 대한제국의 광무제(光武帝, 재위 1897년 ~ 1907년)이다. 휘는 희(熙) 또는 형(), 초명은 재황(載晃), 아명은 명복(命福), 초자(初字)는 명부(明夫), 자는.. 더보기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운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학농민전쟁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찾기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1]은 1893년~1895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키며, 크게 1894년 음력 3월의 고부 봉기(제 1차)와 음력 9월의 전주·광주 궐기(제 2차)로 나뉜다. 기존 조선 양반 관리들의 탐학과 부패에 대한 불만이 쌓이다가 전라도 고부군에 부임된 조병갑의 비리와 남형이 도화선이 되어 일어났다. 부패 척결과 내정 개혁, 그리고 동학 교조 신원 등의 기치로 일어선 동학 농민군 중 일부는 흥선대원군, 이준용 등과도 결탁했다. 전봉준은 대원군을 반신반의 하면서도 명성황후와 민씨 세력의 축출을 위해 대원군과 손을 잡았다. 대원군 역시 .. 더보기
홍범 14조 - 위키문헌 제1 청국에 의존하는 생각을 끊고 자주독립의 기초를 세운다. 제2 왕실 전범(王室典範)을 작성하여 대통(大統)의 계승과 종실(宗室)·척신(戚臣)의 구별을 밝힌다. 제3 국왕(大君主)이 정전에 나아가 정사를 친히 각 대신에게 물어 처리하되, 왕후·비빈·종실 및 척신이 간여함을 용납치 아니한다. 제4 왕실 사무와 국정 사무를 분리하여 서로 혼동하지 않는다. 제5 의정부와 각 아문(衙門)의 직무 권한의 한계를 명백히 규정한다. 제6 부세(賦稅, 세금의 부과)는 모두 법령으로 정하고 명목을 더하여 거두지 못한다. 제7 조세 부과와 징수 및 경비 지출은 모두 탁지아문(度支衙門)에서 관장한다. 제8 왕실은 솔선하여 경비를 절약해서 각 아문과 지방관의 모범이 되게 한다. 제9 왕실과 각 관부(官府)에서 사용하는 경비.. 더보기
간토 대지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간토 대지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관동대지진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찾기 화재가 일어난 마루노우치. 요코하마에서 본 간토 대지진의 피해 간토 대지진(일본어: 関東大震災) 또는 관동대지진(關東大地震)은 1923년 9월 1일 11시 58분에 일본제국 사가미 만을 진앙지로 발생했던 큰 지진이다. 1855년에도 대지진이 있었으나 보통 간토 대지진은 이때를 말한다. 목차 [숨기기] 1 경과 2 2차 피해 3 피해 4 복구 5 같이 보기 6 주석 [편집] 경과 간토 지진은 5분 간격으로 발생한 세 차례의 지진이다. 최초에 발생한 M 7.8[1]의 진원은 거의 동시에 11시 58분에 오다와라와 미우라 반도의 지하에서 약 15초 간 일어났다. 계속하여 M 7.3의 첫 번째 여진이 12시 1분에 일.. 더보기
맨날 헤깔리는 국사 지도 두만강(豆滿江, 중국어 간체: 图们江, 정체: 圖們江, 병음: Túmenjiāng 투먼장[*], 러시아어: Туманная,만주어: Tumen ula)은 한반도 북동부를 흐르는 강으로,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동해로 흘러 들어간다. 두만강의 '두만'은 만주어로 '만(萬)'을 뜻하는 투먼(tumen)에서 유래되었다. 두만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룬다. 두만강 남안(北岸)은 함경북도와 양강도, 북안(北岸)은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이며, 강 하구는 북조선과 러시아의 경계이다. 최근 중국은 두만강 접경지역에 내륙항의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1] 압록강 압록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압록강(鴨綠江, 중국어 정체: 鴨綠江, 간체: 鸭绿江, 병음: Yā.. 더보기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러시아어: Владивосто́к 중국조선말: 블라지보스또크, 문화어: 울라지보스또크)는 러시아의 도시이며, 러시아 극동의 군사기지이며 연해지방의 행정중심지이다. [1]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시발점이며, 러시아의 태평양 진출의 문호이다. 인구는 2002년 594,701명이다. 블라디보스톡은 개인사업과 국제 무역, 관광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국제 심포지움과 학술회의가 자주 열리고 태평양 함대의 모함이기 때문에 세계 각국의 해군함들이 친선 사절로 온다. 주된 산업은 조선업과 포경·게 등 어업, 어류·해산물 가공업, 군항 관련 산업이다. 선박수리, 목재가공, 식료품 공업도 있다. 남동쪽의 나홋카는 제2차대전 후에 열린 상·어항으로 러시아의 극동을 향하는 제2의 문호이다. [1] 목.. 더보기
자유시 참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유시 참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자유시 참변(自由市慘變)은 1921년 6월 27일 러시아 스보보드니(이만, 알렉세예프스크, 자유시)에서 붉은 군대(Красная Армия)가 대한독립군단 소속 독립군들을 포위, 사살한 사건이다. 다른 말로 자유시 사변(自由市事變), 흑하사변(黑河事變)으로도 불린다. 사건이 일어날 당시 조선의 분산된 독립군들이 모두 자유시에 집결하였기 때문에, 이 사건을 계기로 조선의 독립군 세력은 사실상 모두 괴멸되었다. 이 사건으로 독립군 960명이 전사하였으며, 약 1800여명이 실종되거나 포로가 되었다. 한국의 독립운동 역사상 최대의 비극이자 불상사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목차 [숨기기] 1 사건의 전개 1.1 시대적 배경 1.2 대한독립군단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