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visitchina.or.kr/01/05/
중국의 주요도시
- 북경(北京 베이징 Beijing) - 수도, 4대 직할시 중 하나
- 상해(上海 샹하이 Shanghai) - 중국 최대의 경제 중심 도시, 4대 직할시 중 하나
- 천진(天津 톈진 Tianjin) - 4대 직할시 중 하나
- 중경(重慶 충칭 Chongqing) - 4대 직할시 중 하나
- 석가장(石家莊 스자좡 Shijiazhuang - 하북성의 성도
- 태원(太原 타이웬 Taiyuan) - 산서성의 성도
- 서안(西安 시안 Xian) - 섬서성의 성도
- 란주(蘭州 란저우 Lanzhou) - 감숙성의 성도
- 서녕(西寧 시닝 Xining) - 청해성의 성도
- 심양(瀋陽 선양 Shenyang) - 요녕성의 성도
- 길림(吉林 지린 Jilin) - 길림성의 성도
- 합이빈(哈爾濱 하얼빈 Harbin) - 흑룡강성의 성도
- 남경(南京 난징 Nanjing) - 강소성의 성도
- 항주(杭州 항저우 Hangzhou) - 절강성의 성도
- 합비(合肥 허페이 Hefei) - 안휘성의 성도
- 남창(南昌 난창 Nanchang) - 강서성의 성도
- 포주(蒲州 푸저우 Fuzhou) - 복건성의 성도
- 제남(濟南 지난 Jinan) - 산동성의 성도
- 정주(鄭州 정저우 Zhengzhou) - 하남성의 성도
- 무한(우한 Wuhan) - 호북성의 성도
- 장사(창샤 Changsha) - 호남성의 성도
- 광주(廣州 광저우 Guangzhou) - 광동성의 성도
- 해구(海口 하이커우 Haikou) - 해남성의 성도
- 성도(成都 청두 Chengdu) - 사천성의 성도
- 곤명(昆明 쿤밍 Kunming) - 운남성의 성도
- 귀양(貴陽 구이양 Guiyang) - 귀주성의 성도
- 남녕(南寧 난닝 Nanning) - 광서자치구의 주도
- 오노목제(烏魯木齊 우루무치 Urumqi) - 신강자치구의 주도
- 납살(拉薩 라싸 Lasa) - 서장자치구(티벳)의 주도
- 은천(銀川 인촨 Yinchuan) - 영하회족자치구의 주도
- 호화호특(呼和浩特 후허하오터 Huhehaote) - 내몽고자치구의 주도
- 홍콩, 향항(香港 샹강 Xianggang 또는 Hongkong) - 특별행정구
- 마카오, 오문(澳門 아오먼 Aomen 또는 Macao) - 특별행정구
- 대만,타이완 (Taiwan) - 타이페이 수도
그 밖의 주요 도시
- 심천(深玔 선전 Shenzhen) - 중국 제일의 부자도시
- 낙양(洛陽 뤄양 Luoyang) - 서안과 더불어 중국 역사상 자주 도읍이 되었던 도시
- 개봉(開封 카이펑 Kaifeng) - 위에서 등장하지 않은 마지막 7대 고도 중 한 곳, 포청천으로 유명
- 장춘(長春 창춘 Changchun) - 자동차공업의 도시
- 안산(鞍山 안샨 Anshan) - 중국 최대의 철강공업도시
- 대련(大連 다롄 Dalian) - 북방의 홍콩이라 불리며 동북지방에서 빠른 발전을 보이는 도시
- 단동(丹東 단둥 Dandong) - 북한과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있는 공업도시
- 당산(唐山 탕샨 Tangshan) - 공업도시, 당산대형의 그 당산
- 청도(靑島 칭다오 Qingdao) - 산동성 제일의 도시,
- 위해(威海 웨이하이 Weihai) - 공업도시
- 소주(蘇州 쑤저우 Suzhou) - 관광도시
- 무석(無錫 우시 Wuxi) - 공업도시
- 영파(寧波 닝보 Ningbo) - 국제도시로 발전하는 곳
- 계림(桂林 구이린 Guilin) - 관광도시
- 황산(黃山 황샨 Huangshan) - 중국 최고의 명산이 있는 도시
- 하문(廈門 샤먼 Xiamen) - 국제도시로 발전하는 곳
- 대북(臺北 타이베이 Taipei) - 대만의 수도, 중국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중국인들은 대만을 23번째 성으로 여김
'생활/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거치대 만들기 DIY (0) | 2013.01.04 |
---|---|
중국 지역, 지역별 명칭 구분 (0) | 2012.06.30 |
美최고 암전문의 "한국인 먹는 흰쌀밥 설탕덩어리 (0) | 2012.06.23 |
재혼 축의금까지 박박 긁어… 해외로 내빼 (0) | 2012.05.11 |
정부의 결정 실패 지적, 재 공공기관화 제기 탄력 (0) | 2012.04.24 |